인체구조와 기능 서론에서 나온 내용을 토대로 만든 30문제 풀고 넘어가기
계속 풀고 또 풀고 또 풀어보기
정답은 아래에 하얀색 글자로 처리했으니 다풀고 드래그해서 확인해보자
✅ 1주차 예상 객관식 문제 (정답 숨김 )
1. 해부학(anatomy)과 생리학(physiology)의 올바른 설명은?
① 해부학은 인체의 기능을 연구한다.
② 생리학은 인체의 구조를 해부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이다.
③ 해부학은 인체 구조를, 생리학은 인체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.
④ 생리학은 주로 병리적인 상태만을 다룬다.
2. 다음 중 인체 구성 단계의 올바른 순서는?
① 분자 → 원자 → 세포 → 조직
② 원자 → 분자 → 세포 → 조직 → 기관 → 계통 → 유기체
③ 세포 → 조직 → 기관 → 유기체 → 계통
④ 분자 → 세포 → 기관 → 조직 → 유기체
3. 해부학자세(anatomical position)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팔을 앞으로 뻗고 손등이 앞을 향한 자세이다.
② 엎드려 누운 자세이다.
③ 양팔을 몸 옆에 두고 손바닥을 앞쪽으로 향한 자세이다.
④ 머리는 옆으로 돌리고 발을 벌린다.
4. 몸의 앞쪽을 지칭하는 용어는?
① posterior
② dorsal
③ anterior
④ inferior
5. 인체를 위아래로 나누는 해부학적 평면은?
① 시상면
② 전두면
③ 가로면
④ 빗면
6. 인체 내부 장기를 담고 있는 공간을 일컫는 용어는?
① 근위
② 체강
③ 표재
④ 회음부
7. 다음 중 배쪽체강(ventral cavity)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① 흉강
② 복강
③ 골반강
④ 척주관
8. 다음 중 항상성(homeostasis)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항상성은 인체가 일정하게 변화되는 것을 말한다.
② 항상성은 외부 환경 변화에 무조건 저항하는 기능이다.
③ 항상성은 내부 환경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인체의 능력이다.
④ 항상성은 모든 호르몬의 작용을 중단시킨다.
9. 음성되먹임(negative feedback)의 예로 적절한 것은?
① 자궁수축이 점점 증가하는 것
② 손상 부위의 혈소판 응고 작용
③ 운동 시 혈중 CO2 증가로 인해 호흡이 빨라지는 것
④ 출혈 시 심박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
10. 다음 중 인체의 부위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하퇴는 넓적다리 위쪽의 부위이다.
② 상완은 위팔 부위이다.
③ 요부는 허리 뒷부분을 말한다.
④ 하복부는 골반 부분과 관련이 있다.
🚨답(아래)
1. ③
2. ②
3. ③
4. ③
5. ③
6. ②
7. ④
8. ③
9. ③
10. ①
✅ 1주차 추가 예상 객관식 문제 (정답 숨김)
1. anatomy(해부학)의 어원으로 올바른 것은?
① ana(붙이다) + tomy(누르다)
② ana(분해하다) + tomy(절단하다)
③ ana(쌓다) + tomy(연결하다)
④ ana(파괴하다) + tomy(자르다)
2. 생리학(physiology)의 주된 연구 대상은?
① 세포의 모양
② 기관의 위치
③ 각 부위의 기능과 조절
④ 해부 실습 방법
3. 인체의 구성 단계에서 가장 복잡한 단계는?
① 세포(cell)
② 조직(tissue)
③ 기관(organ)
④ 유기체(organism)
4. 과학적 방법에서 실험 결과가 가설을 뒷받침하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?
① 가설을 이론으로 인정한다.
② 가설을 기각한다.
③ 실험을 종료한다.
④ 새로운 용어로 바꾼다.
5. 인체의 기준 자세인 해부학자세는?
① 엎드려 누운 자세
② 무릎을 꿇은 자세
③ 똑바로 서서 손바닥을 앞쪽으로 향한 자세
④ 양팔을 들고 손바닥을 뒤로 향한 자세
6. 시상면(sagittal plane)의 정의는?
① 앞과 뒤로 나누는 면
② 위와 아래로 나누는 면
③ 좌우로 나누는 면
④ 대각선으로 나누는 면
7. 배쪽체강(ventral cavity)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?
① 복강
② 골반강
③ 흉강
④ 척주관
8. 항상성(homeostasis)의 정의로 올바른 것은?
① 체온이 계속 증가하는 상태
② 외부 자극에 의한 빠른 반응
③ 내부 환경의 상대적 안정 상태 유지
④ 모든 기능이 멈추는 것
9. 음성되먹임(negative feedback)의 대표적인 예는?
① 출산 시 자궁 수축 증가
② 상처 부위 혈소판 활성화
③ 체온 상승 시 땀 분비
④ 심한 출혈 시 혈압 급강하
10. 다음 중 인체의 항상성 유지 능력이 가장 뛰어난 시기는?
① 유아기
② 청소년기
③ 성인기
④ 노년기
🚨답(아래)
1. ②
2. ③
3. ④
4. ②
5. ③
6. ③
7. ④
8. ③
9. ③
10. ③
✅ 1주차 새로운 추가 객관식 문제 (정답 숨김)
1. 해부학에서 사용되는 '절단하다'의 어원을 포함한 접미사는?
① -logy
② -tomy
③ -pathy
④ -graphy
2. 다음 중 생리학의 연구 방법에 가장 가까운 것은?
① 신체 부위를 해부하여 관찰
② 신체 활동을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분석
③ 인체의 모양을 그림으로 묘사
④ 인체 구조의 명칭을 암기
3. 다음 중 해부학적 자세가 아닌 것은?
① 양팔은 몸통 옆에 위치
② 손바닥은 뒤를 향함
③ 머리와 발은 정면을 향함
④ 엄지발가락은 약간 벌어짐
4. 해부학자세에서 인체의 좌우 대칭을 무엇이라 하는가?
① 중심축 회전
② 직선 이동
③ 측면 반전
④ 양측 대칭 (bilateral symmetry)
5. 다음 중 가로면(transverse plane)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신체를 앞뒤로 자른다
② 신체를 좌우로 자른다
③ 신체를 위아래로 나눈다
④ 신체를 대각선으로 나눈다
6. 다음 중 등쪽체강(dorsal cavity)에 해당하는 구조는?
① 복강(abdominal cavity)
② 흉강(thoracic cavity)
③ 두개강(cranial cavity)
④ 골반강(pelvic cavity)
7. 인체 구성에서 '조직'의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?
① 구조와 기능의 기본 단위
② 다양한 기관의 조합
③ 동일한 기능을 가진 세포들의 모임
④ 계통을 이루는 장기
8. 양성되먹임(positive feedback)의 예는?
① 운동 후 심박수 회복
② 출산 시 자궁 수축 증가
③ 체온 유지
④ 호흡수 조절
9. 다음 중 항상성 유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항상성은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기전이다
② 항상성은 모든 기능이 멈춘 상태이다
③ 항상성은 생존에 필수적이다
④ 항상성은 온도, 수분, pH 등을 조절한다
10. 해부학자세에서 supine position의 정의는?
① 몸을 아래로 엎드린 자세
② 앉은 자세
③ 얼굴을 위로 향해 누운 자세
④ 무릎을 구부리고 서 있는 자세
🚨답(아래)
1. ②
2. ②
3. ②
4. ④
5. ③
6. ③
7. ③
8. ②
9. ②
10. ③